상담심리

아동 · 청소년기부터 성인 · 노인기에 이르기까지, 
인간의 심리적 문제를 다루는 상담 전문가 양성
  • 학과사무실 위치: 광개토관 915호
  • 전화번호: 02.3408.4056
  • HOME
  • 전공소개
  • 상담심리
  • 전공소개

상담심리
Counseling Psychology

전공소개

상담심리 전공은 인간 발달 및 심리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심리 문제 이해 및 진단 능력, 맥락별 상담 기법 및 프로그램 적용 능력, 상담 윤리 적용 능력, 장애아 등 대상별 상담에 대한 심화 능력과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상담능력을 갖춘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합니다. 

- 청소년상담사 2급, 전문상담사 2급, 심리상담사 2급 자격증 취득을 위한 필수 교과 중심의 교육과정 구성

- 과학자-실무자 모형(Scientist-Practitioner Model)에 기반 한 이론과 실천역량의 조화

- 상담의 이론과 실제, 성격이론과 인간이해 등 기초 함양을 위한 교과목 부터 상담기법의 이론과 실제, 심리측정평가의 활용, 노인상담, 특수아상담, 긍정적 행동지원 등 실천적 역량 함양을 위한 교과목까지 두루 개설 

- 현장과 연계한 다양한 특강 및 세종상담포럼 정기적 개최

세종대학원 학과건물 이미지
세종대학원 학과건물 이미지

1 /2

전공역량

  • 01.
    전공 기초지식 역량
    • 인간 발달 및 심리에 대한 이해
  • 02.
    글로컬 실무 역량
    • 대상별 상담에 대한 심화 지식
    • 문화적 민감성에 기반한 상담 능력
  • 03.
    현장 실천 역량
    • 맥락별 상담 기법 및 프로그램 적용 능력
    • 상담 윤리 적용 능력
  • 04.
    문제 해결 역량
    • 심리적 문제 이해 및 진단 능력
    • 데이터 기반 상담 효과에 대한 분석 능력
  • 05.
    창의 융합 역량
    • 특수교육과 상담의 융합 능력
    •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상담 능력
  •  




졸업요건


[트랙1] 논문 작성 시

   (1) 졸업 평균평점 3.0 이상

   (2) 종합시험 2과목 필수 합격

   (3) 24학점 이상 이수

   (4) <개별연구>, <연구방법론> 교과목 필수 이수 (단, <연구방법론>은 매학년도 1학기에만 개설됨)

   (5) 논문 제출


[트랙2] 논문 미작성 시

   (1) 졸업 평균평점 3.0 이상

   (2) 종합시험 2과목 필수 합격

   (3) 30학점 이상 이수

   (4) 현장사례연구보고서 제출 (단, 석사학위 소지자(전공 무관) / 전공관련 학술지 게재자 /  전공관련 공모전 수상자는 면제)


※ 트랙1(논문 작성) / 트랙2(논문 미작성) 선택은 4학기 초에 가능 (변경은 5학기 초에 가능. 수료 후 트랙 변경 불가)

※ 졸업 후 개인적으로 관련 자격증 취득을 희망하는 경우, 상담심리전공에서 개설된 <연구방법론> 교과목 수강 필수 (공동으로 개설된 <연구방법론>을 수강하면 안됨)



운영방식


    • 수업연한 : 5학기제
    • 재학연한 : 최대 8학기까지 가능
    • 이수학점 : 학기당 7학점까지 가능 (보통 한 과목당 3학점)
    • 수업시간  : 평일 18:30 - 21:30


졸업 후 진로

  • 사회복지기관 : 청소년상담종합복지센터,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, 건강가정/다문화가정지원센터, 이주배경청소년재단 무지개센터, 아동보호전문기관, 평생교육원, 아동·청소년·노인·여성 대상의 복지기관 등
  • 정부·공공기관 : 경찰청 위기개입 상담관, 소방심리지원단, 디지털성범죄피해자 원스톱지원센터, 서울시청년활동지원센터, 육아종합지원센터, 서울심리지원센터 등
  • 교육지관 : 교육지원청 Wee센터, 초·중·고등학교 Wee 클래스, 대학 학생생활상담소, 인권센터, 성평등 상담센터 등
  • 임상심리분야 : 대학병원, 정신건강의학과 의원, 정신건강증진센터 등
  • 그 밖의 기업체 사내 상담부서 및 사설 상담센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