상담심리
아동 · 청소년기부터 성인 · 노인기에 이르기까지, 인간의 심리적 문제를 다루는 상담 전문가 양성
전공소개
상담심리 전공은 인간 발달 및 심리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심리 문제 이해 및 진단 능력, 맥락별 상담 기법 및 프로그램 적용 능력, 상담 윤리 적용 능력, 장애아 등 대상별 상담에 대한 심화 능력과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상담능력을 갖춘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합니다.
- 청소년상담사 2급, 전문상담사 2급, 심리상담사 2급 자격증 취득을 위한 필수 교과 중심의 교육과정 구성
- 과학자-실무자 모형(Scientist-Practitioner Model)에 기반 한 이론과 실천역량의 조화
- 상담의 이론과 실제, 성격이론과 인간이해 등 기초 함양을 위한 교과목 부터 상담기법의 이론과 실제, 심리측정평가의 활용, 노인상담, 특수아상담, 긍정적 행동지원 등 실천적 역량 함양을 위한 교과목까지 두루 개설
- 현장과 연계한 다양한 특강 및 세종상담포럼 정기적 개최
전공역량
졸업요건
[트랙1] 논문 작성 시
(1) 졸업 평균평점 3.0 이상
(2) 종합시험 2과목 필수 합격
(3) 24학점 이상 이수
(4) <개별연구>, <연구방법론> 교과목 필수 이수 (단, <연구방법론>은 매학년도 1학기에만 개설됨)
(5) 논문 제출
[트랙2] 논문 미작성 시
(1) 졸업 평균평점 3.0 이상
(2) 종합시험 2과목 필수 합격
(3) 30학점 이상 이수
(4) 현장사례연구보고서 제출 (단, 석사학위 소지자(전공 무관) / 전공관련 학술지 게재자 / 전공관련 공모전 수상자는 면제)
※ 트랙1(논문 작성) / 트랙2(논문 미작성) 선택은 4학기 초에 가능 (변경은 5학기 초에 가능. 수료 후 트랙 변경 불가)
※ 졸업 후 개인적으로 관련 자격증 취득을 희망하는 경우, 상담심리전공에서 개설된 <연구방법론> 교과목 수강 필수 (공동으로 개설된 <연구방법론>을 수강하면 안됨)
운영방식
졸업 후 진로